건축물의 부위 |
조 건 |
중부 지역1) |
남부 지역2) |
제주도 |
비고 |
거실의 외벽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0.40 |
0.50 |
0.65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0.55 |
0.70 |
0.95 |
|
최상층 거실의 반자 또는지붕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0.25 |
0.30 |
0.35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0.35 |
0.45 |
0.50 |
|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바닥 난방인 경우 |
0.30 |
0.35 |
0.40 |
|
바닥 난방이 아닌 경우 |
0.35 |
0.40 |
0.45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바닥 난방인 경우 |
0.45 |
0.50 |
0.55 |
|
바닥 난방이 아닌 경우 |
0.50 |
0.55 |
0.65 |
|
공동주택의 측벽
|
0.30 |
0.40 |
0.50
|
|
공동주택의 층간바닥
|
바닥난방인 경우
|
0.70 |
0.70 |
0.70 |
|
그 밖의 경우 |
1.00 |
1.00 |
1.00 |
|
창 및 문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3.30 |
3.60 |
4.50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4.70 |
5.20 |
6.50 |
| |
|
1) 중부지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강릉시, 동해시, 속초시, 삼척시, 고성군, 양양군 제외), 충청북도(영동군 제외), 충청남도(천안시),
2) 남부지역: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강원도(강릉시, 동해시, 속초시, 삼척시, 고성군, 양양군), 충청북도(영동군), 충청남도(천안시 제외),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청송군 제외), 경상남도 |
|
 |
자 재 명 |
물 |
철 |
con'c |
흙 |
소나무 |
공기 |
비 고 |
비 중 |
1000 |
7850 |
2300 |
1700 |
377 |
1.25 |
|
비 열 |
1 |
0.11 |
0.21 |
0.44 |
0.5~0.7 |
0.24 |
|
열전도율 |
0.5 |
46 |
0.7~1.4 |
0.45 |
0.091 |
0.02 |
| |
|
 |
공 법 |
조 건 |
열관류율 (kcal/m2.h.℃) |
단열 성능
|
축열량 (kcal/℃) |
비 고 |
토성양식 (옹벽식) |
60cm두께의 흙벽중간에 대나무 및 10cm두께의 지푸라기 사용시 |
0.31 |
중부 |
12,566 |
|
조적식 (벽돌식) |
20cm 두께 흙벽돌 조적 |
1.61 |
불량 |
4,595 |
|
35cm 두께 흙벽 중간에 5cm 단열재 |
0.42 |
남부 |
7,108 |
|
담틀공법 |
40cm 두께의 흙벽 |
0.98 |
불량 |
9,765 |
|
맞벽치기 |
10cm 두께 흙벽 중간에 5cm 두께의 대나무 |
0.67 |
불량 |
1,318 |
|
통나무흙벽 |
40cm 두께의 흙벽에 30%의 통나무 설치
|
0.48 |
남부 |
7,712 |
|
스트로베일 (볏짚블럭) |
50cm 흙벽 중간에 40cm두께 지푸라기 사용 |
0.16 |
중부 |
4,595 |
|
포대공법 |
50cm 두께의 흙벽
|
0.77
|
불량 |
12,925 |
|
목조 |
벽면좌우 OSB합판 중간에 단열재 사용 |
0.23 |
중부 |
263 |
|
조립식
|
10cm 샌드위치 판넬 사용 |
0.28 |
중부 |
19 |
|
일반 조적조 |
1.5B 일반벽돌 조적 중앙에 5cm단열재 사용(35cm두께) |
0.46 |
남부 |
3,213 |
| |
|
* 흙건축물과 일반건축물(목조 외)의 가장 큰 차이점은 축열량이다. 일반조적조와 흙벽돌조적조를 비교해 볼 때 같은 두께(35cm)일 경우 단열등급은 같아도 축열량이 2 배 이상 차이가 나므로 흙벽돌조적조가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하다.
*흙건축공법에서 단열등급은 스트로베일공법(볏짚블럭)이 제일 우수하고 축열량은 포대공법이 제일 우수하다. 그러나 단열성능과 축열량을 같이 고려해보면 토성양식(옹벽식공법)이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
|
 |
공법 |
공법내용 |
장점 |
단점 |
비고 |
조적식공법 |
황토벽돌공장에서 생산된 벽돌을 차곡차곡 쌓아가는 공법 |
*옛날부터 활용된 보편적인 공법 *공사기간이 짧다 *재료구입 용이 *중,소단면에 유리 |
*대단면에 불리 *지진에 취약 *단열성 확보에 비 용증대 |
|
맞벽치기 |
수수깡 또는 대나무를 이용해 격자 모양으로 골조를 만든 후 골조 좌우에 흙을 붙여서 벽을 축조하는 공법 |
*옛날부터 활용된 보편적인 공법 *공사기간이 짧다. *소단면에 유리 |
*대단면에 불리 *지진에 보통 *단열성 확보 어려움 |
|
담틀공법 |
일정크기의 형틀을 설치 후 형틀 내부에 적당한 조립율의 흙을 채우고 다져서 순차적으로 축조 하는 공법 |
*중,대단면축조에유리 *지진에 다소 안전 *현지에서재료(조건에 맞는흙) 조달가능 *대단면 축조시 단열성 확보 |
*소단면 시공지난 *화재시 다소 취약 *창문이 많을 경우 시공이 어려움 |
|
볏짚블럭 흙붙이기 |
볏짚을 일정크기의 압축블럭으로 제작하여 쌓은 후 흙을 좌우에 붙여서 축조 |
*대단면축조에 유리 *단열성에가장 유리 *상대적으로 소량의 황토 사용 *지진에 다소 안전 |
*소단면 시공지난 *화재시 다소 취약 *창문이 많을 경우 시공 어려움 |
|
포대공법 |
마대 또는 양파자루 등 포대에 반죽한 흙을 채워서 순차적으로 쌓아 벽을 축조하는 공법 |
*건축주가 직접 시공하는 것이 가능 *자재 확보 용이 *중규모단면에 유리 |
*소단면 시공지난 *실내부 마감에 비용 증대 *창문이 많을 경우 시공 어려움 |
|
옹벽공법 |
건물형태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 내부에 나무를 엮은 후 반죽한 흙을 채워 다져서 벽을 축조하는 공법 |
*대,중,소 모든 단면 시공 가능 *지진에 안전 *대단면축조시 단열성 확보 *벽면매립 책장, 화분대등벽 면활용가능 *최신 특허 공법 |
*상대적 비용 증대 *숙련공 확보 어려움 *건조에 어려움 |
|
통나무 쌓기흙집 |
통나무를 넣고 흙을 반죽하여 벽체를 축조하는 공법 |
*공사기간이 짧다 *대단면축조에 유리 *현지에서 재료 조달 가능 |
*나무와 흙의 팽창,수축의 차이로 인한 틈이 생김 *목재 부패,곰팡이 |
| |
|
 |
★ : 좋 음. ○ : 보 통. ▽ : 미 흡 | |
구 분 |
세부비교항목 |
평 가 |
비고 |
옹벽식 |
조적식 |
담틀식 |
통나무벽 |
볏짚블럭 |
맞벽치기 |
포대공법 |
경제성 |
대단면 축조시 소요비용 |
★ |
○ |
★ |
★ |
★ |
▽ |
★ |
|
중단면 축조시 소요비용 |
★ |
★ |
★ |
○ |
○ |
▽ |
○ |
|
소단면 축조시 소요비용 |
○ |
○ |
▽ |
▽ |
▽ |
★ |
▽ |
|
실용성 |
시공의 편리함 |
▽ |
★ |
○ |
○ |
▽ |
○ |
★ |
|
벽면에 배관(전기선등)설치 |
★ |
○ |
▽ |
▽ |
○ |
○ |
▽ |
|
곡면을 다양하게 연출 |
★ |
○ |
▽ |
○ |
○ |
▽ |
○ |
|
벽속에 책장,붙박이장설치 |
★ |
▽ |
○ |
○ |
★ |
▽ |
▽ |
|
내구성 |
흙벽의 구조적 안정성 |
★ |
▽ |
○ |
○ |
○ |
○ |
○ |
|
흙벽의 부패.노화.갈라짐 |
★ |
○ |
★ |
▽ |
▽ |
○ |
★ |
|
지진에 대한 내진성
|
★ |
▽ |
○ |
○ |
★ |
○ |
○ |
|
화재에 대한 내화성 |
★ |
○ |
★ |
○ |
▽ |
○ |
★ |
|
비바람의 풍화정도 |
★ |
○ |
○ |
○ |
▽ |
▽ |
○ |
|
단열성 |
흙벽자체의 단열성 |
★ |
▽ |
○ |
○ |
★ |
▽ |
○ |
|
단열재 추가적용의 수월성 |
○ |
★ |
▽ |
○ |
○ |
○ |
▽ |
|
축열성 |
흙벽의 축열량 |
★ |
○ |
★ |
○ |
○ |
▽ |
★ |
|
항습성
|
지속적인 적정습도 유지 |
★ |
○ |
○ |
○ |
★ |
▽ |
★ |
|
종 합 |
★ : 좋 음 |
13 |
3 |
5 |
1 |
5 |
1 |
6 |
|
○ : 보 통 |
2 |
9 |
7 |
12 |
6 |
9 |
6 |
|
▽ : 미 흡 |
1 |
4 |
4 |
3 |
5 |
6 |
4 |
|
이조흙건축에서 스크랩했습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