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붕의 만들기
우리나라처럼 여름철의 집중호우나 겨울에 눈이 많이 오는지역은 빗물이나 눈이
잘 흘러내리도록 지붕의 경사면을 어느정도 할것인지가 고민이다.
여기에서 예를 든건 한옥의 경우인데 옛조상들이 경험상으로 잡아온 물매를 기준해서
적당히 경사면을 가감해서 물매를 잡아가면 될것같아서 올려봅니다.
한옥에서 물매라 함은 처마물매, 마루물매, 지름물매가 있는데
1. 처마물매라 함은 주심도리와 중도리 사이에 놓이는 장연의 물매이다.
- 4치를 넘지않는게 보통이다.
2. 마루물매는 중도리와 마루도리까지의 단연의 물매이다.
- 한자를 넘지 않는게 보통이다.
3. 지름도리는 처마끝에서 마루도리 끝까지의 물매이다
- 6치 정도가 좋다
예전 초가에서는 3치물매를 했다고도 합니다.
* 요즘 우리가 짓는 목구조흙집은 보통 삼량집으로 지으니
주심도리에서 마루도리까지의 물매를 구해보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물매를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보자.
지름물매가 보통 6치가 좋다고 했으니...
그림에서 물매의 크기는 A가 아니고 6치이다.
즉, 물매의 크기는 직각이삼각형의 밑변을 1자로 했을때 세로의 길이다.
따라서 그림의 물매는 6치 물매이다.
처마도리와 종도리의 수평거리가 5자일때 6치 물매가 되려면 종도리의 높이가 얼마가 되어야 할까요?
10 : 6 = 50 : X
X = (6*50)/10
X = 30
종도리의 높이는 30치 즉 3자이다.
TIP :
헌데 이곳에서 종도리의 높이를 결정짓는것이 결국은 동자주나 판대공의 길이인데
보의 높이와 보에 들어가는 장부깊이 그리고 종도리의 두께를 빼야 실제 동자주의 길이가 되겠죠...
처마내밀기는 벽선(기둥의 중심선) 밖으로 나간 처마 부분을 말합니다.
처마를 얼마나 뽑아야 할까요?
처마내밀기는 하지 태양 높이를 기준으로 한답니다.
즉, 처마 끝에서 주춧돌 위 기둥 밑면까지 그은 선이 벽선과 30도 정도를 이루게 처마를 내민다.
한옥에서는 초가의 경우 2~3자 기와집인 경우 3~5자가 보통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빗물이 집으로 들이치지 않게 기단보다 5치 이상 밖으로 나가야 한다
달리 말하면 기단 쌓을때 처마 안쪽으로 5치 안쪽으로 쌓아야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서까래의 길이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구해보면 A²= 1자²+6치²
1자는 10치이니까
서까래의 길이 A²= 10² + 6²
A²= 136
A = 11.7
A = 1자1치7푼
* 실제 공식에 의해보면 간단한것 같은데
실제에서는 처마도리에서 처마를 얼마나 뺄것인지도 감안하여
보통 기와집이 3자~3.5자를 뺀다고 하니까 이길이를 감안해서
6치물매로 계산하여 서까래 길이를 계산하여 합니다.
서까래가 주심도리 밖으로 나와 처마를 이루는데 처마끝의 절단각도가
어떻게 잘리는냐에 따라 처마선이 이쁘게 보이기도 합니다.
밑에서 볼때 처마끝의 마구리부분이 원래의 원형에 가깝게 보일 수 있는
절단면이 가장 이쁘지 않겠습니까?
처마끝을 절단할때는 보통 서까래 굵기의 1/10정도의 각을 주고
절단하면 밑에서 볼때 서까래의 원형이 잘 나온다고 합니다.
예)서까래가 보통 5치 굵기니까 서까래 마구리면을
부재의 수직단면으로부터 5푼을 안쪽으로 각을 잡아서 절단하면
이쁜 동그란 원형에 가깝게 보입니다.
[출처] ◎지붕의 만들기(지붕 물매구하기) (슬로우빌리지) |작성자 슬로우빌
'집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3-2.혼자집짓기공구(엔진톱) (0) | 2014.08.17 |
---|---|
[스크랩] 혼자집짓기 목차 (0) | 2014.08.15 |
[스크랩] 간단하게 태양광 발전으로 전등 사용하기. (0) | 2014.08.15 |
[스크랩] 목조주택 구조 해설도 (0) | 2014.08.15 |
[스크랩] 내손으로 집짓기 3 (0) | 2014.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