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동동주 만드는법 (방법1) 재료및 도구 준비하기 항아리(술독)나 누룩 외에는 가능한 집에 있는 도구들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집에 술독이나 누룩이 있다면 사용해도 괜찮지만 항아리가 간장이나 다른 것들을 사용했던 것이면 가급적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 우리가 빚고자 하는 .. 카테고리 없음 2014.07.25
[스크랩] 아삭아삭~, 여름 별미 고구마줄기 김치 고구마 농사를 짓는 지인분께서 엄청 많은 양의 고구마 줄기를 보내주셨어요. 라면 박스로 잎사귀도 다 띠고 빽빽이 담아서..ㅎ 맛짱은 시골서 가져온 깻잎과 씨름을 하느라.. 박스를 펼쳐 놓고.. 신랑보고..그냥 한마디만 했죠..ㅋ 안도와 줄꺼야?? ^^; 정말 한참을 다듬었습니다. 맛짱이야 .. 요리 2014.07.18
대종경-제4 인도품(人道品)-16장 16장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서로 사귀는데 그 좋은 인연이 오래 가지 못하는 것은 대개 유념할 자리에 유념하지 못하고 무념할 자리에 무념하지 못하는 연고이니, 유념할 자리에 유념하지 못한다는 것은 자기가 무슨 방면으로든지 남에게 은혜를 입고도 그 은혜를 잊어버리며 그에 따라 혹 은.. 원불교 교전 2011.02.09
대종경-제4 인도품(人道品)-15장 15장 대종사 영산(靈山)에 계실 때에 새로 입교한 교도 한 사람이 음식과 폐백을 갖추어 올리는지라, 대종사 받으시고 말씀하시기를 「그대가 이와 같이 예를 표하는 것은 감사하나 그대의 마음 여하에 따라서는 오늘의 정의가 후일에 변하기도 하나니, 그대는 그 이치를 아는가.」 그 사람이 사뢰기를.. 원불교 교전 2011.02.09
대종경-제4 인도품(人道品)-14장 14장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그 본의는 저 편에게 이(利)를 주고자 한 일이 혹 잘못되어 해를 주는 수도 있나니, 남을 위하여 무슨 일을 할 때에는 반드시 미리 조심해야 할 것이요, 그러한 경우로 해를 입은 사람은 그 본의를 생각하여 감사할지언정 그 결과의 해로운 것만 들어서 원망하지 말.. 원불교 교전 2011.02.09
대종경-제4 인도품(人道品)-13장 13장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큰 재주 있는 사람은 남의 재주를 자기 재주 삼을 줄 아나니, 그런 사람이 가정에 있으면 그 가정을 흥하게 하고, 나라에 있으면 나라를 흥하게 하고, 천하에 있으면 천하를 흥하게 하나니라.」 원불교 교전 2011.02.09
대종경-제4 인도품(人道品)-12장 12장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내가 못 당할 일은 남도 못 당하는 것이요, 내게 좋은 일은 남도 좋아하나니, 내 마음에 섭섭하거든 나는 남에게 그리 말고, 내 마음에 만족하거든 나도 남에게 그리 하라. 이것은 곧 내 마음을 미루어 남의 마음을 생각하는 법이니, 이와 같이 오래오래 공부하면 자타의 간.. 원불교 교전 2011.02.09
대종경-제4 인도품(人道品)-11장 11장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자기 가정에서 부모에게 효도하고 형제 간에 우애하는 사람으로 남에게 악할 사람이 적고, 부모에게 불효하고 형제 간에 불목하는 사람으로 남에게 선할 사람이 적나니, 그러므로 유가에서 "효(孝)는 백행(百行)의 근본이라" 하였고, "충신(忠臣)을 효자의 문에서 구한다" .. 원불교 교전 2011.02.09
대종경-제4 인도품(人道品)-10장 10장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사람이 누구나 자기를 좋게 하려는 한 생각이 없지 아니하나, 구하는 데에 있어서는 혹은 순리로, 혹은 역리로, 혹은 사실로, 혹은 허망하게 각각 그 지견과 역량을 따라 구하므로 드디어 성공과 실패의 차를 내게 되나니라. 순리로 구하는 사람은 남을 좋게 하면서 자기가 .. 원불교 교전 2011.02.09
대종경-제4 인도품(人道品)-9장 9장 김 기천(金幾千)이 여쭙기를 「사람이 어찌하면 순(順)과 역(逆)을 알게 되오리까.」 대종사 말씀하시기를 「순이라 함은 저 춘·하·추·동 사시의 변천이 차서를 잃지 아니함과 같이 모든 일에 그 순서를 찾아서 하는 것이요, 역이라 함은 일의 순서를 알지 못하고 힘에 감당 못할 일을 구태여 하.. 원불교 교전 2011.02.09